자동 마운트 설정(fstab)

Prev Next

Linux 서버의 /etc/fstab 설정 파일을 이용해 볼륨 자동 마운트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.

fstab 설정 파일

/etc 디렉터리에 있는 fstab 파일은 서버가 기동할 때 마운트되는 스토리지의 볼륨 정보를 담고 있는 설정 파일입니다.
파일의 각 행은 6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은 [Tab]/[Space] 키 공백으로 구분됩니다.

설정에 사용되는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    /dev/xvdb1    /mnt/b  ext4    defaults    0   0
      (1)           (2)     (3)     (4)        (5) (6)
순번 항목 설명 상세
1 장치명 사용자가 보유한 볼륨의 이름(blkid 명령어로 UUID 확인 후 마운트) <예시> /dev/xvdb1
2 마운트 포인트 볼륨을 마운트하려는 위치의 절대 경로 <예시> /mnt/b
3 파일 시스템 볼륨을 포맷할 때 사용한 파일 시스템 OS별 권장 파일 시스템
  • CentOS 6: ext4
  • CentOS 7: xfs
  • Ubuntu: ext4
4 마운트 옵션 마운트 속성 설정을 위한 옵션으로, 복수 옵션 사용 시 공백 없이 쉼표(,)로 구분(<예시> auto,rw,user)
  • defaults: 'auto,rw,nouser,exec,suid' 속성 지정
  • auto: 시동 시 자동 마운트
  • noauto: 시동 시 자동 마운트 사용 안 함
  • rw: 읽기(read)와 쓰기(write) 가능
  • ro: 읽기 전용(read only)
  • nouser: root 계정만 마운트 가능
  • user: root 계정과 일반 계정 모두 마운트 가능
  • exec: 파일 실행 허용
  • suid: SetUIDSetGID 속성 허용
  • nofail: 설정 오류 등으로 마운트 실패 시 해당 볼륨 제외 후 시동하거나 오류를 무시하고 시동
5 덤프 설정 백업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덤프 사용 설정
  • 0: 덤프 사용 안 함
  • 1: 덤프 사용
6 파일 시스템 점검(fsck) 설정 시동 시 파일 시스템 점검 실행 옵션 설정
  • 0: fsck 실행 안 함
  • 1: root 파일 시스템 확인
  • 2: root 이외 파일 시스템 확인

fstab 설정 예시

CentOS 6.x에서 /dev/xvdb1 장치를 /mnt/b에 마운트하려는 경우, fstab 파일에 설정을 추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1. 서버에서 vi /etc/fstab 명령어를 입력해 편집기를 실행해 주십시오.
  2. [a] 키를 눌러 입력 모드로 진입한 후 볼륨의 마운트 정보를 등록해 주십시오.
    /dev/xvdb1    /mnt/b  ext4    defaults    0   0
    
  3. [Esc] 키를 눌러 입력 모드를 끄고 :wq를 입력해 편집기를 종료해 주십시오.
  4. mount -av 명령어를 입력해 설정 파일의 정합성을 점검해 주십시오.
    • 명령어 입력 즉시 fstab 파일에 등록한 볼륨들이 마운트되며, 오류가 발생하면 메시지가 출력됩니다.

fstab 설정 진단 및 수정

fstab 파일 설정 오류로 서버를 재시작할 수 없는 경우,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에서 서버에 접속해 오류의 원인을 진단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. 오류를 진단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1.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에서 Services > Compute > Server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.
  2. Server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.
  3. 재시작실패로 표시된 서버를 선택해 주십시오.
    • 긴급 모드가 켜져 [서버 접속 콘솔] 버튼이 활성화됩니다.
  4. [서버 접속 콘솔]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.
  5. 서버 화면에서 긴급 모드 상태를 확인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서버에 접속해 주십시오.
  6. mount -av 명령어를 입력해 주십시오.
    • fstab 설정 오류 진단이 실행됩니다.
  7. 진단 결과를 확인해 주십시오.
    • <예시> 마운트 옵션을 'default'로 잘못 입력(올바른 설정값: 'defaults')
      server-ts-fstab-vpc_error_example_1
    • <예시> 파일 시스템 포맷을 'xfs'로 잘못 입력(올바른 설정값: 'ext4')
      server-ts-fstab-vpc_error_example_2
  8. vi /etc/fstab 명령어를 입력해 편집기를 실행해 주십시오.
  9. 오류가 포함된 설정부를 주석 처리하거나 수정한 후 저장해 주십시오.
    • 오류가 계속되는 경우에 대비해 원본 설정을 주석 처리하여 보존하기를 권장합니다.
  10. reboot 명령어를 입력하거나, 콘솔에서 [강제 정지] > [시작] 버튼을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.
  11. 서버가 정상적으로 시동되었는지 확인한 후 /etc 디렉터리의 fstab 파일에서 주석 처리한 부분을 점검해 주십시오.
    • 이 때, 콘솔의 서버 상태가 운영중으로 표시되는지 확인해 주십시오.
참고
  • Oracle Linux 6.10 및 RHEL 6.10에서는 fstab 파일 내 추가 스토리지에 대한 정보가 잘못 입력된 경우에도 긴급 모드로 진입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시동되며, /var/log/messages 디렉터리에서 관련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  # ('defaults' 'default' )
    Aug 5 18:25:05 test-server kernel: [ 2.077285] xvdb: xvdb1
    Aug 5 18:25:06 test-server kernel: [ 11.118531] EXT4-fs (xvdb1): Unrecognized mount option "default" or missing value
    
  • 재부팅에 실패했으나 [서버 접속 콘솔] 버튼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고객 지원으로 문의해 주십시오.
  • /etc 디렉터리의 fstab 파일에서 root 파티션 라인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, root(/) 하위의 모든 파일이 읽기 전용(read only) 모드로 바뀌어 파일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. 고객 지원을 이용해 Single Mode 부팅을 요청한 후, mount -o remount,rw / 명령어를 입력해 읽기/쓰기(read-write) 모드로 전환하고 fstab 파일을 다시 열면 내용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