라이브 인코더 송출 가이드

Prev Next

인코더 송출 가이드

인코더 설정

방송 장비를 활용하여 Live 스트리밍(Streaming)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. 자주 쓰는 범용 인코더는 아래 가이드를 참고해주세요.

FMLE 인코더

  1. FMLE 인코더(Encoder)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합니다.
  2. RTMP 스트리밍 옵션을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.
    • FMLE 인코더 input URL setting

      • FMS URL: Live Station 스트림 정보의 URL을 입력합니다.
      • Stream: Live Station 스트림 정보의 스트림키를 입력합니다.

fmle-001_ko

① Video
- Format: Only H.264(not VP6)
- Frame Rate: 29.97fps
- Input Size: Highest Size

② Bit & Size: Fix rate & Size

③ Audio
- Format: AAC
- Channels: Stereo
- Simple rate: 44100 Hz
- Bit Rate: 192kbps

  1. Live 스트리밍을 시작합니다.

Wirecast 인코더

  1. Wirecast 인코더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합니다.

  2. RTMP 스트리밍 옵션을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.

    • 스트리밍 URL을 입력합니다.

      • 주소: Live Station 스트림 정보의 URL을 입력합니다.
      • 스트림: Live Station 스트림 정보의 스트림키 입력합니다.

wirecast-001_ko

① 새 미리 설정
② ID/PW 입력

  • 새 미리 설정

wirecast-002_ko

wirecast-003_ko

  • X264 옵션에 다음 내용을 복사하여 입력합니다.

    ```
    8x8dct=1 aq-mode=2 b-adapt=2 bframes=3 direct=auto keyint=150 me=umh merange=24 min-keyint=auto mixed-refs=1 partitions=i4 x4,p8x8,b8x8 profile=main rc-lookahead=60 ref=3 scenecut=40 subme=7 threads=0 trellis=1 weightb=1 weightp=2 ratetol=0.1 debloc k=1:0 qcomp=0.1 qpmax=69 qpmin=3 qpstep=4 vbv-bufsize=2000 vbv-maxrate=1800
    ```
    
  1. Live 스트리밍을 시작합니다.

RTMP 소스를 송출할 경우, ① [Stream] 버튼을 클릭합니다.
개인 로컬(Local) PC에 현재 방송을 레코딩할 경우, ② [레코딩] 버튼을 클릭합니다.

wirecast-004_ko

① Stream 송출

② 레코딩 시작/정지

OBS 인코더

  1. OBS 인코더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합니다.

  2. RTMP 스트리밍 옵션을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.

    • URL: Live Station 스트림 정보의 URL을 입력합니다.
    • Stream Key: Live Station 스트림 정보의 스트림키를 입력합니다.

obs-001_ko

  • RTMP 상세 설정

    Rate Control의 기본 옵션은 CBR입니다. 단, LED를 방송에서 사용하거나 화려한 조명이 있는 방송의 경우 ‘VBR’ 옵션을 권장합니다.
    

obs-002_ko

* X264 옵션에 다음 내용을 복사하여 입력합니다.

  ```
  8x8dct=1 aq-mode=2 b-adapt=2 bframes=3 direct=auto keyint=150 me=umh merange=24 min-keyint=auto mixed-refs=1 partitions=i4 x4,p8x8,b8x8 profile=main rc-lookahead=60 ref=3 scenecut=40 subme=7 threads=0 trellis=1 weightb=1 weightp=2 ratetol=0.1 debloc k=1:0 qcomp=0.1 qpmax=69 qpmin=3 qpstep=4 vbv-bufsize=2000 vbv-maxrate=1800
  ```
  • FPS 설정

obs-003_ko

  1. Live 스트리밍을 시작합니다.

obs-004_ko

Prism Live Studio

Prism Live Studio를 통해 PC/모바일에서 영상을 자유롭게 송출할 수 있습니다.

본 가이드에서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Live Station로 송출하기 위한 기본적인 내용만 제공하고 있으며, Prism Live Studio 의 자세한 기능은 아래 경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Prism Live Studio - PC 버전

  1. Prism Live Studio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합니다.
  2. Prism Live Studio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.

prismpc-001_ko

  1. Live Station로 영상 송출을 위해 RTMP 스트리밍 옵션을 설정합니다.

    1. 채널 설정 > 채널 추가 > 방송 플랫폼 연결 > RTMP 수동 입력 선택

prismpc-002_ko

  1. Live Station으로 영상 송출을 위해 RTMP URL을 입력합니다.

    • ① 채널명: Prism Live Studio 내 채널명은 Live Station 채널명과 무관하며, Prism Live Studio 내에서 사용할 채널명을 입력해주세요.
    • ② URL: Live Station 스트림 정보의 URL을 입력합니다.
    • ③ 스트림키: Live Station 스트림 정보의 스트림키를 입력합니다.

prismpc-003_ko

  1. 채널 선택
    • 3-2에서 등록한 채널명을 선택합니다. 채널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영상이 송출되지 않습니다.

prismpc-004_ko

  1. Live 스트리밍을 시작합니다.

    Live Station로 정상적으로 영상이 송출된다면 [Go Live] 버튼이 [Finish] 버튼으로 변경 되며 플레이어 상단에 [LIVE] 태그가 확인됩니다.

prismpc-005_ko

  1. 송출 중인 영상을 Live Station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.
    Live Station 콘솔 내 [모니터링] 탭에서 송출 영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prismpc-006_ko

  1. 방송 종료

    만약 Live 스트리밍을 중단하고 싶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 바랍니다.

    • [Finish] 버튼 클릭
    • ② 라이브 종료 [확인] 버튼 클릭

prismpc-007_ko

참고

① Prsim Live Studio 송출 화질은 기본적으로 720p로 설정되어 있습니다.

  • 송출 화질을 낮추고 싶다면 상단 [화질 선택] 을 클릭하여 화질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.

② Prism Live Studio 내에서 현재 송출 상태가 양호한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prismpc-008_ko

Prism Live Studio - 모바일 버전

  1. Prism Live Studio 앱을 다운로드합니다.

  2. Prism Live Studio 앱을 실행합니다.

    • [LIVE] 선택
    • [READY] 버튼 터치

prismmobile-003_ko

  1. Live Station로 영상 송출을 위해 RTMP 스트리밍 옵션을 설정합니다.

    • 채널 설정 > 채널 추가 선택
    • 방송 플랫폼 연결 > RTMP 수동 입력 선택
    • ③ Live Station으로 영상 송출을 위해 ①에서 등록한 채널명과 Live Station의 스트림 정보 내 URL을 입력합니다.
      • 스트림 이름: Prism Live Studio 내 스트림 이름은 Live Station 채널명과 무관하며, Prism Live Studio 내에서 사용할 스트림 이름을 입력해주세요.
      • 스트림 URL: Live Station 스트림 정보의 URL을 입력합니다.
      • 스트림 키: Live Station 스트림 정보의 스트림키를 입력합니다.

prismmobile-001_ko

  1. Live 스트리밍 시작 및 종료

    • ① 3-1에서 등록한 채널명을 선택 후, [Go Live] 버튼을 클릭하면 영상이 시작됩니다.
      이때, 3-1의 채널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영상이 송출되지 않습니다.
    • ② Live Station으로 영상이 정상적으로 송출된다면 [Go Live] 버튼이 [Finish] 버튼으로 변경되며 플레이어 상단에 [LIVE] 태그가 확인됩니다.
    • ③ 송출 중인 영상을 중단하고 싶다면 상단 [End] 버튼을 클릭합니다. Live 스트리밍 송출이 종료됩니다.

prismmobile-002_ko

권장 송출 옵션

가장 기본적인 권장 송출 옵션입니다. Live Station의 콘솔을 통해 채널 생성 - 화질 설정 선택시 해당 옵션을 참고하여 송출해 주시기 바랍니다.

Quality Resolution Video Bitrate Video codec FPS KeyFrame Interval H.264 Profile AudioBitrate Audio codec
360p 640 x 360 800 ~ 1500kbps H.264 29.97 ~ 30 fps 1 second Baseline 128kbps AAC
720p 1280 x 720 2000kbps H.264 29.97 ~ 30fps 1 second Main 192kbps AAC
1080p 1920 x 1080 5000kbps H.264 60 fps 1 second High 192kbps AAC

안정적인 라이브 진행을 위한 팁

성공적인 라이브 진행을 위해 사용자는 방송 시작 전 아래 항목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
  • 네트워크 품질

    • 이메일 확인이나 웹페이지 로딩 시 문제가 없더라도 라이브 스트리밍을 진행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인터넷 환경일 수 있습니다.
    • 라이브에 사용하는 인터넷은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지 않는 전용 회선을 사용하시길 권장합니다.
    • 라이브를 진행할 만한 충분한 업로드 대역폭인지 확인하기 위해 speedtest.net과 같은 도구를 사용해서 확인해주세요.
  • Wifi 사용 여부

    • Wifi나 테더링 연결을 사용하여 송출할 경우 송출 품질이 불안정할 수 있으며, Frame Drop이 발생하기 쉽습니다.
    • 특히 테더링을 통한 송출 환경의 경우, 모바일(3G/LTE) 네트워크 환경은 보장할 수 없기에 가급적 유선랜 환경(Hardwired Ethernet)에서 송출하길 권장합니다.
  • 대역폭

    • 방송 진행 전 현재 방송 진행할 장소에서 네트워크 업로드 대역폭을 확인해야 합니다.
    • 업로드 대역폭은 계획한 방송 송출 비트레이트의 두 배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. 만약 720p 화질의 방송을 진행할 경우, 최소 측정 업로드 속도는 8mbps가 되어야 합니다.
    • 송출할 동안 버퍼링, 송출 끊김, 연결 끊김 등이 잦게 발생한다면 비트레이트와 해상도를 낮춰 송출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.
  • CPU 사용량

    • 인코더에서 사용되는 cpu 사용량은 인코더 설정을 통해 조절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Hd급 라이브를 진행할 경우 높은 비트레이트를 사용하기에 인코딩과 캡쳐를 하기 위해 상당히 많은 CPU 리소스를 사용합니다.
    • 만약 송출 중인 영상이 계속 끊기거나 버퍼가 발생한다면 인코더에서 프레임을 떨어뜨리거나 기대했던 Frame rate보다 낮게 인코딩을 재시작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Input 소스의 해상도를 줄이거나 output 해상도 혹은 비트레이트를 줄인다면 이슈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.
  • 키프레임 간격

    • 키프레임(Keyframe) 값이 클 경우 영상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.
    • 몇몇 인코더에서 기본 설정은 권장 송출 옵션과 다를 수 있지만 최적의 품질을 위해서 권장 송출 옵션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    • 몇몇 인코더는 “Auto Keyframe Interval”이나 “Scene change Detect” 같은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옵션을 사용하면 송출 시 키프레임이 가변적일 수 있기에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. 불규칙적인 키프레임 간격으로 송출할 경우 영상 품질 저하, 버퍼링 등 다른 송출 품질 관련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