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PC 환경에서 이용 가능합니다.
정상적으로 부팅되지 않는 서버를 복구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.
Single Mode 진입
다음 상황에 해당하는 경우, 싱글 모드에 진입하여 서버를 복구해 주십시오.
- 관리자 암호를 분실한 경우
- fstab 사용에 문제가 있는 경우
-
서버 목록에서 부팅할 서버를 클릭하여 선택한 후 [강제 정지]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.
-
[시작] 버튼을 클릭하여 정지된 서버를 부팅시킨 후 [서버 접속 콘솔]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.
-
OS별 싱글 모드 진입 방법을 확인하여 서버 복구 절차를 수행해 주십시오.
CentOS Single Mode 진입
CentOS에서 싱글 모드에 진입하여 서버를 복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
커널 버전 선택 화면에서
e
를 입력하여 부팅 파라미터 수정 화면으로 진입해 주십시오.
-
다음과 같이 파라미터를 수정한 후 [Ctrl] + [x] 키를 눌러 수정된 부팅 파라미터로 OS를 시작해 주십시오.
ro
를rw init=/sysroot/bin/bash
로 수정하고,rhgb quiet
를 삭제해 주십시오.
-
싱글 모드로 진입해 주십시오.
-
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서버의 파티션 영역을 마운트해 주십시오.
:/# chroot /sysroot
RHEL Single Mode 진입
RHEL에서 싱글 모드에 진입하여 서버를 복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
커널 버전 선택 화면에서
e
를 입력하여 부팅 파라미터 수정 화면으로 진입해 주십시오.
-
다음과 같이 파라미터를 수정한 후 [Ctrl] + [x] 키를 눌러 수정된 부팅 파라미터로 OS를 시작해 주십시오.
ro
를rw init=/sysroot/bin/bash
로 수정하고,rhgb quiet
를 삭제해 주십시오.
-
싱글 모드로 진입해 주십시오.
-
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서버의 파티션 영역을 마운트해 주십시오.
:/# chroot /sysroot
Ubuntu Single Mode 진입
Ubuntu에서 싱글 모드에 진입하여 서버를 복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
커널 버전 선택 화면에서
e
를 입력하여 부팅 파라미터 수정 화면으로 진입해 주십시오.
-
다음과 같이 파라미터를 수정한 후 [Ctrl] + [x] 키를 눌러 수정된 부팅 파라미터로 OS를 시작해 주십시오.
ro
를rw single init=/bin/bash
로 수정해 주십시오.
-
싱글 모드로 진입해 주십시오.
Rocky Linux Single Mode 진입
Rocky Linux에서 싱글 모드에 진입하여 서버를 복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커널 버전 선택 화면에서
e
를 입력하여 부팅 파라미터 수정 화면으로 진입해 주십시오.
- 다음과 같이 파라미터를 수정한 후 [Ctrl] + [x] 키를 눌러 수정된 부팅 파라미터로 OS를 시작해 주십시오.
ro
를rw init=/sysroot/bin/bash
로 수정해 주십시오.
- 싱글 모드로 진입해 주십시오.
-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서버의 파티션 영역을 마운트해 주십시오.
:/# chroot /sysroot
부팅 커널 변경
OS별 부팅 커널을 변경하여 서버를 복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CentOS 부팅 커널 변경
CentOS에서 부팅 커널을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여기에서는 부팅 커널을 CentOS Linux (3.10.0-1127.19.1.el7.x86_64) 7 (Core)
로 변경하는 예시를 들어 설명합니다.
-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현재 커널 설정을 확인해 주십시오.
[root@centos ~]# grub2-editenv list saved_entry=CentOS Linux (3.10.0-1127.el7.x86_64) 7 (Core)
-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커널 리스트를 확인해 주십시오.
[root@centos ~]# grep ^menuentry /boot/grub2/grub.cfg | cut -d "'" -f2 CentOS Linux (3.10.0-1127.19.1.el7.x86_64) 7 (Core) CentOS Linux (3.10.0-1127.el7.x86_64) 7 (Core) CentOS Linux (0-rescue-4bfdd392cea14cb58d22427c1c69c5df) 7 (Core)
- 기본 부팅 커널 설정을 변경한 후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변경된 커널 설정을 확인해 주십시오.
[root@centos ~]# grub2-set-default "CentOS Linux (3.10.0-1127.19.1.el7.x86_64) 7 (Core)" [root@centos ~]# grub2-editenv list saved_entry=CentOS Linux (3.10.0-1127.19.1.el7.x86_64) 7 (Core)
- 서버를 재부팅한 후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커널을 확인해 주십시오.
[root@centos ~]# reboot [root@centos ~]# uname -r 3.10.0-1127.19.1.el7.x86_64
RHEL 부팅 커널 변경
RHEL에서 부팅 커널을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여기에서는 부팅 커널을 Red Hat Enterprise Linux Server (3.10.0-957.el7.x86_64) 7.6 (Maipo)
로 변경하는 예시를 들어 설명합니다.
-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현재 커널 설정을 확인해 주십시오.
[root@rhel ~]# grub2-editenv list
saved_entry=Red Hat Enterprise Linux Server (3.10.0-1160.81.1.el7.x86_64) 7.6 (Maipo)
-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커널 리스트를 확인해 주십시오.
[root@rhel ~]# grep ^menuentry /boot/grub2/grub.cfg | cut -d "'" -f2
Red Hat Enterprise Linux Server (3.10.0-1160.88.1.el7.x86_64) 7.6 (Maipo)
Red Hat Enterprise Linux Server (3.10.0-957.el7.x86_64) 7.6 (Maipo)
Red Hat Enterprise Linux Server (0-rescue-5aae4d1c90d9438093661afa7a4fbe7a) 7.6 (Maipo)
- 기본 부팅 커널 설정을 변경한 후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변경된 커널 설정을 확인해 주십시오.
[root@rhel ~]# grub2-set-default "Red Hat Enterprise Linux Server (3.10.0-957.el7.x86_64) 7.6 (Maipo)"
[root@rhel ~]# grub2-editenv list
saved_entry=Red Hat Enterprise Linux Server (3.10.0-957.el7.x86_64) 7.6 (Maipo)
- 서버를 재부팅한 후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커널을 확인해 주십시오.
[root@rhel ~]# reboot
[root@rhel ~]# uname -r
3.10.0-957.el7.x86_64
Ubuntu 부팅 커널 변경
Ubuntu에서 부팅 커널을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여기에서는 부팅 커널을 5.4.0-131-generic
로 변경하는 예시를 들어 설명합니다.
-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현재 커널 설정을 확인해 주십시오.
root@ubuntu:~# cat /etc/default/grub | grep GRUB_DEFAULT GRUB_DEFAULT=0
-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커널 리스트를 확인해 주십시오.
root@ubuntu:~# awk -F"--class" '/menuentry/ && /with Linux/ {print $1}' /boot/grub/grub.cfg | awk '{print i++ " : " $5,$6,$7,$8}' | sed -e "s/'/ /g" 0 : 5.4.0-182-generic 1 : 5.4.0-182-generic (recovery mode) 2 : 5.4.0-131-generic 3 : 5.4.0-131-generic (recovery mode)
- 기본 부팅 커널 설정을 변경한 후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변경된 커널 설정을 확인해 주십시오.
root@ubuntu:~# sed -i 's/GRUB_DEFAULT=.*/GRUB_DEFAULT=saved/g' /etc/default/grub root@ubuntu:~# grep "GRUB_DEFAULT" /etc/default/grub GRUB_DEFAULT=saved root@ubuntu:~# grub-set-default "Advanced options for Ubuntu>Ubuntu, with Linux 5.4.0-131-generic" root@ubuntu:~# grub-editenv list saved_entry=Advanced options for Ubuntu>Ubuntu, with Linux 5.4.0-131-generic root@ubuntu:~# update-grub Sourcing file `/etc/default/grub' Sourcing file `/etc/default/grub.d/init-select.cfg' Generating grub configuration file ... Found linux image: /boot/vmlinuz-5.4.0-182-generic Found initrd image: /boot/initrd.img-5.4.0-182-generic Found linux image: /boot/vmlinuz-5.4.0-131-generic Found initrd image: /boot/initrd.img-5.4.0-131-generic done
- 서버를 재부팅한 후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커널을 확인해 주십시오.
root@ubuntu:~# reboot root@ubuntu:~# uname -r 5.4.0-131-generic
Rocky Linux 부팅 커널 변경
Rocky Linux에서 부팅 커널을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여기에서는 부팅 커널을 Rocky Linux (4.18.0-553.5.1.el8_10.x86_64) 8.6 (Green Obsidian)
로 변경하는 예시를 들어 설명합니다.
-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현재 커널 설정을 확인해 주십시오.
[root@rockylinux ~]# grub2-editenv list saved_entry=50f85e7b58fc48c8a91ae8a9a60ee028-4.18.0-553.el8_10.x86_64 boot_success=0
-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커널 리스트를 확인해 주십시오.
[root@rockylinux ~]# grep ^menuentry /boot/grub2/grub.cfg | cut -d "'" -f2 Rocky Linux (4.18.0-372.32.1.el8_6.x86_64) 8.6 (Green Obsidian) Rocky Linux (4.18.0-372.9.1.el8.x86_64) 8.6 (Green Obsidian) Rocky Linux (0-rescue-50f85e7b58fc48c8a91ae8a9a60ee028) 8.6 (Green Obsidian)
- 기본 부팅 커널 설정을 변경한 후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변경된 커널 설정을 확인해 주십시오.
[root@rockylinux ~]# grub2-set-default "Rocky Linux (4.18.0-553.5.1.el8_10.x86_64) 8.6 (Green Obsidian)" [root@rockylinux ~]# grub2-editenv list saved_entry=Rocky Linux (4.18.0-553.5.1.el8_10.x86_64) 8.6 (Green Obsidian) boot_success=0
- 서버를 재부팅한 후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커널을 확인해 주십시오.
[root@rockylinux ~]# reboot [root@rockylinux ~]# uname -r 4.18.0-553.5.1.el8_10.x86_64
서버 복구 불가 시 스냅샷을 통한 데이터 복구 방법
싱글 모드 진입 또는 부팅 커널 변경으로 서버 복구가 불가능한 경우, 생성된 스냅샷을 사용하여 원하는 서버에 새로운 스토리지를 생성하면 저장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.
스냅샷을 통해 데이터 복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스냅샷 생성 가이드를 참고하여 스냅샷을 생성해 주십시오.
- 스냅샷으로 스토리지 생성 가이드를 참고하여 스냅샷을 사용하여 스토리지를 생성하고, 서버에 마운트해 주십시오.참고
- 스냅샷으로부터 스토리지의 데이터를 읽어와 복구하므로 디스크 파티션, 스토리지 포맷 작업은 생략해 주십시오.
- 다른 서버의 부팅용 기본 스토리지에서 스냅샷을 생성했거나, 스토리지를 추가한 서버의 기존 스토리지 중 하나에서 스냅샷을 생성한 경우, 원본 서버의 스토리지와 생성한 스토리지의 식별자가 중복되어 마운트를 수행할 수 없습니다.
- 스토리지 식별자 변경을 참고하여 생성한 스토리지의 식별자를 변경해 주십시오.
- 스토리지를 마운트한 경로에 접근하여 데이터 복구를 진행해 주십시오.